GALLERY4

김지욱의 영상으로 듣는 5인의 ‘그날의 증언’

당시 5월의 뜨거운 현장 속에 있었던 김상윤, 김상집, 이양현, 이태복, 전용호 등 5인의 육성 인터뷰를 비주얼아티스트 김지욱의 영상으로 만난다.

김지욱

김지욱(1968~)은 심리학을 전공하고 독학으로 사진과 영상을 공부하여, 2019년 첫 개인전 ‘변주된 찰나’를 통해 비주얼 아티스트로서의 활동을 본격 시작하였다. 내셔널지오그래픽사진아카데미(NGPA) 및 라이카코리아 등에서 강의를 한 바 있으며, 2020년 두번째 개인전 ‘the 미궁’을 선보인 후, 2021년 9월 전주국제사진제의 ‘유리도시 프로젝트’ 기획전에도 초대되었다. 영상 작업은 경주 남산의 돌부처들을 미속 촬영하여 2017년 KBS UHD 유네스코 세계유산 8부작 중 ‘돌부처의 숲 경주 남산’ 편에 방영된 바 있다.

이태복(Tae Bok Lee) : 윤상원기념사업회 이사장

1950년 충남 보령 출생, 1976년 도서출판 광민사(현 동녘)를 설립하여 노동운동 등 사회과학 서적을 발행하고 노동운동에 참여하였다. 1981년 전민학련⦁전민노련(일명 학림) 사건수괴로 기소되어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모진 고문을 당하고 무기수로 복역했다. ( 재심을 통해 2012년 대법원 무죄 확정 ). 1988년 출소 후 주간 노동자신문과 노동일보를 창간하였고 김대중 정부에서 청와대 복지노동수석과 보건복지부장관을 지냈다. (사)인간의 대지 이사장, 5대 거품빼기 운동본부 상임대표, 국민석유주식회사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 매헌윤봉길월진회 회장, 현 윤상원기념사업회의 이사장

김상윤 : 광주 녹두서점대표, 전윤상원기념사업회 이사장

1948년 전남 장성 출생. 1974년 민청학련에 연루되어 징역 15년을 선고 받았고, 출소 후 1977년 광주에 사회과학책을 보급하는 녹두서점을 열었다. 1980년 전남대 국문과에 복학 후 복적생협의회를 구성하여 학생운동에 참여하던 중 계엄확대 조치로 5월 17일 자정 예비검속되었다. 상무대에서 심한 고문을 받고 내란임무 주요종사자로 구속되었다가 1981년 12월 석방되었다. 윤상원기념사업회·지역문화교류재단 설립, 광주문화도시협의회 설립

이양현

1950년 함평 나산 출생 광주제일고등학교 재학 당시 ‘광랑’ 동아리 활동하다 전남대 사학과에 입학하여 정상용과 함께 1971년 민족사회연구회를 만들었다. 1971년 교련반대시위로 군대에 강제징집 당했으며 1975년 제대하여 윤상원과 다시 만나 활동하였다. 1980년 518 민주화 운동 당시 항쟁지도부에서 기획위원으로 활동하며 5월 27일 새벽 계엄군에 의해 전남도청 함락되던 순간까지 윤상원, 정상용, 윤강옥 등과 함께 도청을 사수하며 계엄군 총탄에 윤상원 열사가 희생되는 걸 지켜봤으며 이후 생포되어 상무대로 끌려가 고초를 당했다.

김상집 : (사) 광주전남6월항쟁 이사장, 윤상원 평전 저자

1956년 전남 장성 출생. 광주제일고등학교 재학시 시위를 주동. 전남대학교 수의대를 나와 동물병원을 운영했다. 군에서 막 제대하였던 1980년 5월 광주 민중항쟁 당시 녹두서점에서 계엄군과 맞서기 위해 윤상원과 함께 화염병을 제작하고 투사 회보를 만들어 시민들에게 배포했으며 전남대 스쿨버스를 운전하여 가두방송을 했다. 5월 23일부터 열린 민주수호범시민궐기대회에서는 대학생과 예비군을 시민군으로 편성⦁배치⦁훈련을 담당했다. 저서로 윤상원 평전외에 ‘녹두서점의 오월’(공저, 2019) 등이 있다.

전용호 소설가, 전 광주전남소설가협회 회장

1957년 전남 순천 출생. 1978년 전남대 재학 중 ‘들불야학’의 강학으로 활동했다. 5월항쟁 당시 투쟁위원회 홍보팀으로 들불야학 학생들과 [투사회보]를 제작·배포하다가 투옥됐다. 1982년 「임을 위한 행진곡」이 삽입된 노래극 제작에 참여한 뒤 광주민중문화연구회 등 지역문화운동을 펼쳐왔다. 2017년 광주 5월 민중항쟁의 기록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개정증보판, 황석영·이재의·전용호 공저)를 집필하여 만해문학상 특별상을 수상했다.
1998년 [광주매일]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물안개』가 당선되었다. 창작동화 『천 개의 소원』을 펴냈으며, 『오리발 참전기』는 그의 첫 소설집이다.

인사말

윤상원의 삶과 그 날의 기록

하성흡의 수묵으로 그린 윤상원 일대기

성남훈의 사진과 김상집의 평전으로 가는 '5월 그날의 현장'

열사의 일기로 보는 노동운동가 윤상원

김지욱의 영상으로 듣는 5인의 ‘그날의 증언’

쿤낫, 주용성의 아시아 현장 사진전 ‘아직도 끝나지 않은 노래’

활동 및 소식

전시장 안내